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도쿄의 주 4일 근무제, 일본 인구 위기의 해결책이 될까? 그리고 한국은?
    일상지식 2025. 2. 28. 11:46

    최근 일본에서 주 4일 근무제가 도입되면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특히 도쿄도청을 중심으로 시행되는 이 정책이 일본의 심각한 인구 위기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지 주목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도쿄의 주 4일 근무제는 어떤 내용을 담고 있을까요? 이 정책이 일본의 경제와 사회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한국과의 비교까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출처 - https://timesofindia.indiatimes.com/


    도쿄의 주 4일 근무제, 어떤 변화가 있을까요?

    2025년 4월부터 도쿄도청 직원 16만 명을 대상으로 주 4일 근무제가 도입됩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4일 근무, 3일 휴식” 모델 – 직원들이 원하는 평일 하루를 선택해 쉴 수 있습니다.

    2. 육아 부분 휴가제 – 하루에 최대 2시간까지 근무 시간을 줄일 수 있습니다.

    3. 유연한 근무 방식 도입 – 육아, 간병 등 가정의 필요에 따라 근무 조정이 가능합니다.

    4. 월 근무 시간 유지 – 하루 근무 시간을 늘려 기존 월 근무 시간을 채우는 방식입니다.

     

    이 정책을 주도한 코이케 유리코 도쿄도지사는 여성과 부모들이 일과 가정을 양립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이 제도를 추진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일본 정부의 “일하는 방식 개혁” 정책의 연장선상에 있으며, 일본 사회가 직면한 심각한 문제를 해결하려는 대담한 시도로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정책이 일본의 인구 위기 해결 실질적인 영향을 미칠 있을까요?

    4일 근무 3일 휴식. 사진:  Unsplash 의 Liam Burnett-Blue


    일본의 인구 위기, 얼마나 심각할까요?

    일본은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인구가 감소하는 국가 중 하나입니다.

    2008년 1억 2,810만 명에서 지속적으로 감소 중

    2024년 출생아 수 72만 988명으로 역대 최저치 기록 (전년 대비 5% 감소)

    65세 이상 인구 비율 29.1% (2022년 기준), 세계 최고 수준

    출산율 1.2, 특히 도쿄는 0.99로 더 낮음 (인구 유지에 필요한 출산율은 2.1)

     

    일본 정부는 여러 출산 장려 정책을 시행하고 있지만, 효과는 미미한 상황입니다. 전문가들은 2050년이면 일본 인구의 3분의 1이 65세 이상이 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습니다. 노동력 감소, 경제 침체, 사회 복지 부담 증가 등이 일본 사회의 미래를 위협하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4 근무제가 과연 인구 문제 해결에 기여할 있을까요?

    일본의 고령화. 사진:  Unsplash 의 Jon Tang


    주 4일 근무제의 경제적 및 사회적 영향

    경제적 영향

    긍정적인 측면

    근로자들의 생산성이 향상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기업의 간접비 절감 효과가 기대됩니다.

     

    부정적인 측면

    기업들이 새로운 근무 일정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혼란이 예상됩니다.

    일부 업종에서는 현실적으로 적용이 어려울 수도 있습니다.

     

    사회적 영향

    출산율 제고 기대

    여가 시간이 증가하면서 가족 형성과 출산율 상승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남성의 가사 및 육아 참여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문화적 장벽

    일본의 장시간 근무 문화가 여전히 강하게 남아 있습니다.

    여성의 육아 부담을 줄이기 위해서는 단순한 근무 시간 조정 이상의 변화가 필요합니다.

     

    전문가들은 4 근무제가 단기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있지만, 근본적인 사회적 인식 변화 함께 이루어지지 않으면 인구 감소 문제를 해결하기는 어렵다고 지적하고 있습니다.

    여가 시간 증가로 인한 출산율 상승 기대. 사진:  Unsplash 의 HiveBoxx


    한국의 주 4일 근무제 시도 "우리는 어떻게 하고 있을까요?"

    일본의 상황을 보면서 자연스럽게 한국의 주 4일 근무제 논의도 떠오릅니다. 한국 역시 심각한 저출산, 고령화 문제를 겪고 있기 때문에 유사한 정책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경기도의 선도적 시도

    경기도는 4.5일 근무제 시범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초기 예산 250억 원 배정, 연간 100억 원 투자 예정

    50개 민간 기업 및 공공기관 참여

    선택 가능한 세 가지 모델

    1. 격주 4일 근무제

    2. 주 35시간 근무제

    3. 매주 금요일 반차 제도

     

    정부 차원의 논의

    대통령 직속 경제사회노동위원회에서는 주 4일제와 유연 근무제를 검토 중입니다. 노사정 대화를 통해 점진적으로 추진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민간 기업의 움직임

    현대자동차 노조가 금요일 반차 근무 도입 요구하며 단체교섭을 진행 중입니다. 이는 대기업에서도 유연 근무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음 보여줍니다.

    출처 - https://m.koreaherald.com/


    주 4일제, 가능할까요? 찬반 논의

    찬성 측 의견

    일-생활 균형 개선

    근로자 복지 및 생산성 향상

    저출산 문제 해결에 도움

     

    반대 측 우려

    기업의 운영 비용 증가

    임금 삭감 가능성

    일부 산업에서의 적용 어려움

     

    실제로 아이슬란드, 영국, 독일, UAE 여러 나라에서 4일제 시범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많은 기업들이 긍정적인 결과를 보고 있습니다. 하지만 모든 국가에서 성공할지는 지켜봐야 문제입니다.

    출처 - https://tech.co/


    마치며 "혁신적 시도, 그 결과는?"

    도쿄의 주 4일 근무제 도입은 일본의 심각한 인구 위기를 해결하기 위한 대담한 시도입니다. 하지만 이 정책만으로 출산율 상승, 노동력 감소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입니다.

     

    한국 역시 비슷한 고민을 안고 있으며, 경기도를 중심으로 새로운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진정한 변화가 이루어지려면 정책뿐만 아니라 사회 전반적인 인식 변화가 함께 이루어져야 합니다.

     

    주 4일제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우리나라에서도 전면 도입된다면 어떤 변화가 일어날까요? 여러분의 생각을 댓글로 공유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상으로 도쿄의 4 근무제와 일본의 인구 위기, 그리고 한국의 상황 대한 이야기를 마치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Designed by Tistory.